2개의 게시글이 있습니다.
떡볶이맵의 데이터가 점점 많아지면서 marker cluster용 api를 구축해야 했지만, 어떠한 라이브러리가 좋은지 파악하지 못했고 (내가 직접 구현할 수도 있고) best practice를 공부하지 못했기 떄문에 해당 작업을 잠시 뒤로 미루게 되었다. 하지만 전국 떡볶이 데이터가 1000개를 넘어가던 시점부터 쎄한 느낌이 들었고, 응답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에 지도에 데이터가 늦게 떠서 상당히 불편했다. 페이지네이션을 적용한 이후인 현재 데이터를 4000개정도이다. 스크린샷 2021-10-22 오후 10 59 00 나름 기발한?생각으로 장소 데이터를 가져오는 api에 페이지네이션을 적용해보기로 했다. 테이블 형태의 페이지네이션 api라면 한번의 요청에서 limit만큼의 데이터를 받으면 될 일이지만, 지도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불러와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api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해당 지도 bound내의 count를 가져오는 api…
참고자료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HTTP Status Codes REST API의 이해와 설계 - 조대협의 블로그 1. Intro 2000년 Roy Fielding의 논문에서 처음 정의된 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스타일로,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자원(Method)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URI)를 지정하여 전송(Request)하면, 다음 자원에 대한 표현이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Response)된다. REST 규칙을 따르는 API는 Method와 URI만으로 이 요청의 의도와, 결과를 어느정도 예상할 수 있게 합니다. REST 아키텍쳐를 적용한 웹서비스를 라고 부르고, 이러한 아키텍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상호운용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합니다. Stateless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Restful 시스템은 , , 을 목표로 합니다. 2. Methods…